"칼슘신호 조절 통해 췌장염 치료 표적 제시" 연세대 신동민 교수팀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상태바
"칼슘신호 조절 통해 췌장염 치료 표적 제시" 연세대 신동민 교수팀 논문, SCI급 국제학술지 등재
  • 정 현 기자
  • 승인 2019.09.30 11:4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화기 분야 국제학술지 ‘가스트로엔테오로지(Gastroenterology)’ 9월 4일자 게재
SARAF, Orai1, Stim1 모식도 / 자료이미지=한국연구재단

[위즈뉴스] 한국연구재단은 29일, 연세대 신동민 교수 연구팀과 미국 국립보건원 등이 참여하는 공동연구진이 급성 췌장염 진행 과정에서 칼슘신호 조절에 관여하는 유전자(SARAF)의 역할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성과를 담은 논문 'Ca2+ Influx Channel Inhibitor SARAF Protects Mice From Acute Pancreatitis'라는 제목으로 소화기 분야 SCI급 국제학술지 ‘가스트로엔테오로지(Gastroenterology, IF=20.773)’ 9월 4일자에 게재됐다. 

연구팀의 설명에 따르면, 췌장의 샘꽈리세포에서 분비하는 여러 소화효소가 소장 등으로 분비되기 전에 세포질 내에서 활성화되면 세포 스스로를 분해시키면서 급성 췌장염이 발생한다.

췌장의 샘꽈리세포 안으로 칼슘이온이 과도하게 유입되면 칼슘자체의 독성에 의해 세포가 파괴되며 이어 세포 내 소화효소가 유리되어 췌장염이 발생한다. 특별한 치료제가 없어 통증완화 치료가 주로 이뤄진다.

칼슘이온 통로(Orai1)를 없애 칼슘이온의 유입을 막으면 췌장염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실제 칼슘이온 통로가 없는 생쥐모델의 경우 췌장 내 미생물총이 크게 영향을 받는 등 치명적 부작용으로 치료제로 개발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연구팀은 칼슘이온 통로 자체가 아닌 통로의 개폐에 관여하는 단백질들에 주목하고 급성 췌장염에서 조직 손상을 막는 단백질 'SARAF'가 분해되어 사라지는 것을 알아냈다.

쌤꽈리세포에서 SARAF가 분해되지 않도록 단백질을 안정화하거나 다시 보충해줄 수 있는 전략이 췌장염 치료제 개발의 실마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췌장염 생쥐모델에서 처음에는 많이 만들어진 SARAF가 이후에 분해되면서 결과적으로 과도한 칼슘이온의 유입을 가져온다는 것이 연구의 출발이 됐다.

췌장염 환자의 생검샘플에서도 마찬가지로 SARAF 유전자의 발현량이 감소했다.

신동민 교수 / 사진=한국연구재단

실제 칼슘이온 통로 개폐조절 단백질(SARAF)이 만들어지지 않는 생쥐에 급성 췌장염을 유도한 결과 SARAF를 많이 만들어내는 생쥐에 비해 췌장염 진행정도가 더 심각했다.

SARAF 유전자가 결여된 생쥐에서는 정상생쥐보다 췌장의 부종과 혈액 내 아밀라아제(amylase) 양이 더 증가한 것이다.

연구팀의 신동민 교수는 "(그간) 급성, 만성 췌장염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제가 없었다"면서 “칼슘신호 조절을 통해 췌장염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음을 밝혀 치료제가 미비했던 췌장염 치료제를 개발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